목록레전드 (8)
<복덕방>

아아....내가 살아 생전에 이 매치업을 보게 될 줄이야 ㅋㅋㅋㅋㅋㅋㅋㅋ 존나 놀랍게도 마이크 타이슨 (54세) vs 로이 존스 주니어 (51세) 가 붙는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와 이 씨발 이건 존나 절로 무릎 탁! 이건 경로당 매치라도 무조건 봐줘야지 ㅋㅋㅋㅋㅋㅋㅋ이건 뭐랄까? 머니웨다의 보면서도 존나 기분 좆같은 잡뽀르노 같은 엔터테인 매치업이 아니라 존나 즐겁고 기대되는 리얼엔터테인 매치업이다. 50을 넘긴 나이임에도 무려 8라운드 경기로 9월 12일에 캘리포냐에서 한단다. 체급을 어케 맞출진 모르겠지만 뭐 대충 잘 맞추고 싸우겠지. 제대로된 엔터테인 매치인 만큼 진지하게 승부예측해보자면, 당연 아무리 나이가 더 많아도 놀던 물(체급)도 다르고 같은 천재라지만 좀 더 짐승에 가까웠던 타이슨의 승리..

그거슨 바로 빠른 시일 안에 골로프킨 3차전 하는 거다. 까놓고 말해서 당장 불러내기 힘든 메이웨더 제외하고 카넬로 전적 중에 제일 찝찝한 게 골로프킨 1차전이다. 그 다음 2차전도 더 잘 싸웠긴 했지만 딱히 씨발 시원하게 이겼다고 할 수도 없다. 즉 나 같은 골로프킨 빠돌이가 아니라도 그의 전적 중에 제일 갸우뚱한 게 딱 그거 하나다. 나머지는 다 존나 시원시원 딱히 테클 걸 것도 없다. 심지어 골로프킨 전이 더 찝찝했던 건 그와의 경기를 앞둔 와중에 클렌부테롤에 빨대 꽂은 게 걸렸다는 거. 그러고도 제대로 이기기는커녕 씨발좆같은편파로 비기고 한번은 이겼는데 찝찝하단 거. 자자 냉정하게 보자. 아무리 멕시칸이랑 카넬로 빠돌이들이 골로프킨은 이제 패싱해도 좋다고 설쳐도 그냥 팩트만 놓고 보면 지금 이 레..
오늘 호주 브리즈번에서 벌어진 파퀴아오와 제프 혼의 WBO웰터급 타이틀 매치 결과, 1라운드부터 불안불안하더니 결국 일이 터져버렸다. 나의 예상, 모두의 예상이 빗나갔다. 결과부터 말하자면 호주 안방복서 제프 혼이 WBO웰터급 새로운 챔피언이 됐다. 파퀴아오가 졌다. 판정패다. 호주 홈 경기인만큼 판정가면 위험할 수 있다고 봤는데 실제로 그런 일이 벌어졌고, 의외인 것은 이것이 딱히 편파로 보이지는 않는다는 거다. 그만큼 제프 혼이 잘 싸워줬다.제프 혼은 1라운드부터 진짜 미친 개처럼 달려들었다. 탐색전이고 뭐고 없었다. 월등한 신체조건을 무기로 그냥 펀치를 날리고 씨름에 가까운 몸싸움을 벌였다. 파퀴아오는 나름 침착하게 잘 대응했고, 2라운드 이후로 차근차근 레프트를 적중시켰지만 제프 혼에게 끌려가는 ..
인간이 당대의 명예와 명성을 누리기 위해 가장 중요하며 필수적인 조건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그것은 재능과 노력이라고 답한다. 나 또한 그러길 바란다. 그러나 사실 정답은 따로 있다. 그것은 운, 혹은 우연이다.물론 재능과 노력이 갖춰진 자에게 운이 따르는 것이라는 말도 맞다. 그러나 두 가지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재능과 노력이 갖춰졌는데 운이 따르지 않는 자와 일말의 재능도 노력도 부재한 자에게 벼락처럼 운이 들이닥친다고 해보자. 대개 여기서 명예와 명성은 후자에게 돌아간다. 우리가 본능적으로 신체능력을 겨루는 스포츠에 열광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그러한 스포츠는 운이 개입할 여지가 '그나마' 적은 곳이다. 특히 자랑할 만한 육체의 재능을 타고난 자가 노력을 경주하여 인간능력의 극한을..
지난 주 5월 28일 열린 WBA 웰터급 잠정 챔피언 전에 출격한 쉐인 모슬리가 예상(?)대로 러시아의 데이빗 아바네시안에게 심판 전원일치 판정패를 당했다. 아바네시안은 22승 1패 11KO며 쉐인 모슬리가 처음 상대하는 소위 '빅 네임'이다. 고만고만 적당한 상대였다고 보지만 모슬리는 역시 예전의 모슬리가 아니었던 것이다. 사실 슈가 쉐인 모슬리가 언제쩍 슈가냐? 오스카 델라 호야랑 라이벌전 펼치던 전성기가 2000년대 초반인데 아직도 공식전에 나서고 있다니 말이다. 그런데 팬들의 반응이 좀 엇갈리는 것 같다. 멋지다. 대단하다. vs 퇴물이다. 더 이상 추한 꼴 보이지 말고 은퇴해라. 로 말이다. 나는 당연히 전자다. 비록 약물파동에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지만 나는 적어도 모슬리가 요즘 복싱계에 만연한..
지난 일요일 무려 MBC생중계를 통해 방송된 파퀴아오 vs 브래들리 3차전에서 파퀴아오가 판정승을 거뒀다. 무엇보다 이 경기는 파퀴아오가 직접 은퇴전이라 밝혀 더욱 관심이 뜨거웠던 것 같다. 요즘 세계복싱 탑랭커는 두 가지 스타일로 나뉜다고 본다. 어떻게든 상대를 때려눕혀 이기려고 하는 복서가 있고, 그냥 좀 더 때리고 덜 맞아서 지지만 않으려는 복서가 있다. 이기려는 것과 지지 않으려는 것은 같은 승리를 지향하면서도 완전히 다른 경기양상으로 나타난다. 파퀴는 그의 커리어 내내 늘 전자였다. 상대를 쓰러트리고, 이기려는 복서였다. 시간이 흐르고 나이가 들며 공격력이 떨어졌건, 움직임이 느려졌건, 좀 더 수비적이 됐건 간에 그건 변하지 않았다. 파퀴아오 지지않기 위해서가 아닌 이기기 위해 캔버스 위에 올랐..
뭐 살다보면 비난할 만한 사람 혹은 사건이 없다고 할 수 없다. 비난 받아 마땅한 것들이 넘친다. 허나 누군가를 비난한다는 것은 내 입도 더럽히는데 더하여 대부분의 경우 비난을 받는 상대에게도 좋은 영향을 주지 못하는 쌍방손해가 되기 때문에 비난을 할 때엔 항상 주의해서 잘 알아보고 정말 비난받을 상대에게 비난을 하고 있는지 살펴야 한다. 칭찬이야 뭐 서로 윈윈이니까 대충 하면 되지만 말이다. 파퀴아오와 브래들리 3차전이 뉴스에 떴다. 그러자 반응을 보니 별로 기대되지 않는다는 둥, 지난 번처럼 하지 말라는 둥 이런 비난의 글들이 눈에 띈다. 이런 사람들은 100% 확률로 지난 번 정말 오랜만에 공중파로 중계한 파퀴아오머니웨더 경기를 보고 실망한 나머지 기다렸다는 듯 이런 비난을 쏟아낸 것이다. 파퀴웨더..
우리는 몇몇 위대한 복서를 알고 있다. 무하마드 알리나 슈거 레이 로빈슨, 로베르토 듀란, 마빈 헤글러, 마이크 타이슨, 오스카 델 라 호야, 그리고 매니 파퀴아오. 그러나 플로이드 메이웨더는 다시 태어나 복싱 커리어를 처음부터 쌓아올리지 않는 이상 위대한 복서의 전당에 올라올 수 없다. 아니 올라와서는 안 된다. 난 사실 이 글도 무용하다고 생각한다. 이성적인 복싱팬이라면 플로이드 메이웨더와 위대한 복서라는 표현이 전혀 어울리지 않는단 것을 다들 인지하고 있을 터다. 걍 내가 쓰고 싶어서 쓴다.플로이드 메이웨더의 디펜스 테크닉과 비지니스 능력, 똑똑하단 사실은 나 역시 그리고 수많은 복싱팬 역시 인정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는 왜 위대한 복서가 되지 못하는가? 혹자는 플로이드 메이웨더가 현존하는 복..